728x90 경제 상식10 기준금리 명목금리 실질금리 개념 정리 오늘은 기준금리, 명목금리, 실질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리는 대출이나 예금에 의해 발생하는 이자나 그 비율을 의미하며, 이자율이라는 단어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우리의 생활과 매우 밀접한 개념이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하죠.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는 우리의 자산과 직결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평소 관심 있게 봐야 하고, 금리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대처를 해야 하는데요. 오늘 설명드릴 기준금리, 명목금리, 실질금리에 따라 은행에 돈을 예금해놓는 것이 오히려 손해일 때도 있습니다. 반대로, 대출을 해서 이자를 내는 것이 이득인 상황도 발생하죠. 자세히 알아봅시다. 기준금리의 개념 기준금리는 각 나라 중앙은행 (한국의 경우에는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국내외 경제.. 2021. 8. 29. 테이퍼링 이란? 뜻과 영향, 수혜주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테이퍼링의 뜻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 관련 수혜주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요즘, 테이퍼링 (Tapering)이라는 이슈로 인해 주식시장이 많이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적절한 대비책을 구축해서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는데요. 자세히 알아봅시다. 테이퍼링의 뜻 테이퍼링 (Tapering)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경기 부양을 위해 진행했던 양적완화를 점차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즉, 경제를 원상 복구하기 위한 출구 전략 중 하나인 것이죠. 테이퍼링을 완벽하게 이해하려면 양적완화라는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양적완화 경기가 침체되기 시작하면 정치권에서는 기준금리를 내림으로써 경기를 부양하려 합니다. 하지만, 반복된 금리 내리기 조치에도 경제가 되살아나지 않는다.. 2021. 8. 27. 퇴직금 일시금 수령, 연금 수령 차이점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퇴직금 일시금 수령과 연금 수령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어떠한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퇴직금을 연금 형태로 수령하기 위해서는 퇴직연금제도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본 포스팅 아래에 있는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생활을 마무리하게 되면 받게 되는 퇴직금은 일시금과 연금의 형태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최근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계좌 개수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96.7%가 일시금 수령을 선택하였고, 나머지 3.3%만이 연금 수령을 선택하였습니다. 하지만, 총금액을 기준으로 봤을 땐 71.6%가 일시금, 28.4%가 연금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3.3%의 사람이 전체 퇴직금 중 28.7%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게 되었다는 이야기인데.. 2021. 8. 23. 퇴직연금-DB형/DC형/IRP 장단점 및 차이점 오늘은 퇴직연금제도 유형인 확정 급여형 (Defined Benefit, DB), 확정 기여형 (Defined Contribution, DC),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IRP)의 정의와 장단점,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후생활과 관련된 내용인 만큼 꼼꼼히 확인해 주세요.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이 2005년 12월에 개정되면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도입 취지는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함인데요. 퇴직금과는 다르게 회사가 보관하는 형태가 아닌 외부 금융회사에 퇴직급여를 적립하는 형태입니다. 퇴직금과 퇴직연금의 차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퇴직금과 퇴직연금의 차이 요즘 들어서 퇴직금보다는 퇴직연금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세제 혜택과.. 2021. 8. 21. 이전 1 2 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