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가치 투자와 장기투자의 뜻과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여러분들은 가치 투자를 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장기투자를 하고 계신가요? 많은 분들은 자신의 투자 방식이 가치 투자인지 장기투자인지 확실히 모르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을 정리하였습니다.
주식투자를 하고 계신 많은 분들은 가치 투자와 장기투자가 비슷한 말이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렸습니다. 두 개념은 겹치는 부분도 있지만 겹치치 않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죠. 이 두 개념은 주식계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개념이니 꼼꼼히 읽고 개념을 확립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가치 투자의 정의
가치 투자는 말 그대로 기업의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즉, 기업의 가치 대비 주가가 저평가된 기업의 주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수하고, 주가가 기업의 가치만큼 평가받는 시기가 오면 적정 가격에 매도를 하는 전략입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점은 주식을 매수해서 매도하는 사이의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가치 투자에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기 투자가 될 수도 있고 장기투자가 될 수도 있으며 중기 투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가치 투자의 대명사인 워렌버핏은 가치 투자를 통해 1965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21.6%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를 계산해보면 초기 자본의 17,647배의 수익을 창출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10만 원으로 주식투자를 시작했고 워런 버핏과 같은 수익률을 기록하셨다면 17.6억 원이 되었다는 것이죠. 저도 워렌버핏 발톱 끝만큼이라도 따라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가치 투자자는 "슈퍼개미 김정환", "에셋 플러스 자산운용의 강방천 회장님", "한국투자 밸류자산운용의 이채원 대표님" , "메리츠 자산운용의 존리 대표님", "인피니티 투자자문의 박세익 전무님" 등이 있습니다. 이분들의 자료를 통해 공부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장기투자의 정의
장기투자는 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으나 주가가 저평가된 기업의 주식에 일정 기간 이상 투자를 하면서 수익을 얻는 투자 방법입니다. 즉, 장기투자에는 시간의 개념이 녹아있습니다. 이것이 가치 투자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한국에서는 삼성전자를 통해 장기투자를 많이 하시는데, 이렇게 장기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적금식으로 매달 일정 금액씩 매수를 하죠. 삼성전자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1등 기업이고, 분명히 미래에는 더욱 성장할 기업이기 때문에 장기투자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덩치가 큰 만큼 무거운 주식이기 때문에 단기투자로 접근하면 오히려 손실을 볼 수도 있는 종목이라 생각합니다.
가치 투자와 장기투자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바로 기업의 가치가 절대 단기간에 상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가치 투자를 하더라도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니 장기투자가 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분명히 차이가 있는 투자법입니다. 장기투자는 정말 먼 미래를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 주가가 고평가이든 저평가이든 상관없이 미래의 가치가 더 높다면 매수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가치 투자는 저평가에 사서 고평가에 파는 전략이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나 자산 운용 방식이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가치 투자와 장기투자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포스팅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주식투자 대가들의 투자 명언 모음 (feat 워렌 버핏, 피터 린치)
주식투자의 시작 - 기업의 적정 주가 계산하는 방법 (기본 편)
주식 기초 용어 정리 PER, PBR, 그리고 ROE 지표
'주식으로 돈벌자 > 주식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CI 지수란? 조기 편입 조건과 기준, 기대효과 총정리 (0) | 2021.08.07 |
---|---|
스팩(SPAC) 주 뜻과 스팩 투자 장단점 완벽 정리 (0) | 2021.08.05 |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정의와 공시 이후 주가 흐름 (0) | 2021.08.02 |
주식 기초 용어 정리 EPS, BPS 그리고 DPS (0) | 2021.07.20 |
주식 기초 용어 정리 PER, PBR, 그리고 ROE 지표 (0) | 2021.07.19 |
댓글